송리원댐 건설 주민 반대움직임 본격화 > 환경뉴스

본문 바로가기

처음으로
이슈
환경뉴스

송리원댐 건설 주민 반대움직임 본격화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몽당연필 작성일09-06-01 11:02 조회1,656회 댓글0건

본문

▲송리원댐 건설반대 봉화군투쟁위원회는 최근 봉화군청 회의실에서 발기인 대회를 가졌다. 마경대기자

송리원댐 건설 주민 반대움직임 본격화
"댐하류 지역위해 봉화 희생양" 
  
한국수자원공사가 올해 착공할 계획인 영주 송리원댐 건설을 둘러싸고 댐 상류지역인 봉화지역 주민들이 댐 건설 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.
봉화군의회(의장 김천일)가 송리원댐 건설 반대 건의문을 채택하고, 봉화군민들로 구성된 송리원댐 건설 반대 투쟁위원회(위원장 우병렬)가 결성돼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.

봉화군의회는 14~20일 열린 제151회 임시회 회기 중 "정부가 추진 중인 송리원댐 건설과 관련, 댐 상류지역인 봉화군의 경우 안개 등에 대한 저습으로 축산농가의 질병피해와 과수농가의 개화기·결실기 피해가 불을 보듯 뻔하다"며 "게다가 수질보전을 위한 수변구역은 법적 규제가 강화돼 개발제한으로 인해 농공단지와 공장유치가 어려워지는 등 혜택은 없고 규제와 부담만 가중된다"고 밝혔다.

또 송리원댐 건설 반대 봉화군투쟁위원회도 최근 군청 회의실에서 발기인 대회를 갖고 우병렬 봉화군 새마을지회장을 대표위원장으로 추대하고 금상균 군의원 등 10명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, 반대투쟁에 본격 나서고 있다.

투쟁위는 "2003년 봉화군민의 반대로 정부가 송리원댐 건설을 하지 않을 것을 공식화했음에도 최근 '4대 강 살리기 합동보고회'에서 낙동강 중·하류의 수질개선과 생활·공업용수 공급을 이유로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에 송리원댐을 다시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"며 이는 봉화군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처사라고 주장했다. 특히 "봉화군 경계에서 20㎞ 하류에 댐이 들어설 계획이어서 봉화군민들은 혜택은 전혀 없는 대신 상수도보호구역 지정과 각종 개발계획 제한은 물론, 기상변화 등으로 피해만 입게 될 것"이라고 주장했다.

이 때문에 수자원공사가 최근 군청 대회의실에서 열기로 했던 설명회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는 등 송리원댐 건설 백지화 투쟁이 본격화되고 있다.

우 위원장은 "정부가 낙동강 중·하류 지역의 편의를 위해 봉화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을 결코 묵과할 수 없다"며 "앞으로 군민 궐기대회는 물론 송리원댐 건설 백지화 건의문을 채택해 중앙부처에 전달하는 등 투쟁에 나서겠다"고 말했다. 영주 봉화·마경대기자 kdma@msnet.co.kr

▨ 영주 송리원댐=1999년 정부가 낙동강 유역의 수질 개선과 안정적인 용수 공급, 홍수 방지를 위해 추진했으나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장기간 표류해 오다 2004년 타당성조사와 2005년 낙동강유역 종합치수계획(안)에 반영되면서 2006년 타당성 재조사에 착수, 사업추진에 탄력을 얻고 있다.

한국수자원공사는 사업비 8천380억원을 들여 영주 평은면 금광리~용혈리 내성천(유역면적 500㎢)에 높이 50m, 길이 380m, 총저수량 1억8천100만㎥(수몰면적 11.4㎢·이주민 511가구) 규모의 다목적댐을 올 연말 착공, 오는 2014년 말 완공할 예정이다. 수자원공사는 또 사업비 550억원을 들여 댐 주변에 생태공원과 전망공원, 수변공원, 체육공원 등 관광자원화 사업을 추진해 시민휴식공간 및 관광명소로 조성할 계획이다.

수자원공사는 지난달 17일 영주농협 파머스마켓 3층 회의실에서 사전환경성검토서(초안)에 대한 주민공람 및 설명회를 갖고, 7일까지 주민공람을 마친 상태며 6월 말 기본계획 고시 후 보상실태 조사와 측량에 들어가 늦어도 연말까지는 착공한다는 방침이다.

2009-05-27 매일신문
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구글플러스로 보내기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환경뉴스 목록

게시물 검색

X 이메일 무단수집거부
Copyright © KFEMJinju All rights reserved. 주소 : (52726) 경남 진주시 동진로 34, 7층 (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정문 앞 7층)
이메일 jinju@kfem.or.kr 전화 : 055) 747-3800 | 055) 746-8700 | 팩스 : 055) 747-5882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